매출 매입 부가세 분개 방법(회계처리 예시) :: 부가세예수금 부가세대급금 의미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매출 매입 부가세 분개 방법(회계처리 예시) :: 부가세예수금 부가세대급금 의미

사회/개인사업자 세금 이슈

by 새옹지마@@ 2025. 5. 13. 13:00

본문

매출 매입 부가세 분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개인사업자 분들 중에서, 세무사 기장 대리를 맡기지 않고 스스로 복식부기 장부를 작성하시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장부를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이라면, 발생한 거래에 대해 어떻게 회계처리를 할 지 막막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매출 또는 매입거래 회계처리는 기본인데요, 이때, 부가세를 어떤 계정을 사용하여 회계처리를 할지 모를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사례를 통해 매출 매입 부가세 회계처리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끝까지 정독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매출 또는 매입세금계산서는 장부 작성에 있어 기본이 되는 자료입니다. 위 세금계산서 세부내역을 어떻게 조회할까요? 국세청 홈택스에서 월별 세금계산서를 조회할 수 있는데, 아래 포스팅에서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매출-매입-세금계산서-세부내역-조회방법-홈택스

 



<목  차>
  • 1. 매출 시 부가세 분개 방법 예시 :: 부가세 예수금 의미 등
  • 2. 매입 시 부가세 분개 방법 예시 :: 부가세 대급금 의미 등
  • 3. 맺으며


 

 

1. 매출 시 부가세 분개 방법 예시 :: 부가세 예수금 의미 등

 

 

매출 발생 시 부가세 회계처리 방법을 사례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예를들어, 개인사업자 김새옹 씨는 110만 원(부가세 10만 원 포함)의 상품을 판매하였고, 구매자로부터 현금 110만 원을 지급받았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회계처리를 할까요?

 

매출 회계처리의 핵심은, 위 부가세에 대해 '부가세 예수금' 계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분개를 할 수 있습니다.

 

차변(자산 증가) 대변(수익 / 부채 증가)
현금 1,100,000원 매출 1,000,000원
  부가세예수금 100,000원

 

 

 

그러면, '부가세 예수금' 의미는 무엇일까요? 부가세 예수금은, 사업자가 상품 또는 용역을 제공하고 거래상대방(구매자)으로부터 부가가치세를 미리 받아 일시적으로 보관(예수)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사업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세금이 아니라, 나중에 국세청에 납부해야 하는 '타인의 돈'인 것이죠. 그렇기에 회계상 '부채'로 처리됩니다.

 

자, 그러면 매입 시 부가세 분개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2.'항에서 사례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참고) 신용카드 매출이 발생하였다면 어떻게 될까요? 여기서는 신용카드 수수료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는데요, 신용카드 매출에 대해서는 실무상 어떻게 회계처리 하는 것이 용이한지, 아래 포스팅에서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용카드-매출-분개방법-수수료

 

 

2. 매입 시 부가세 분개 방법 예시 :: 부가세 대급금 의미 등

 

 

매입 시 부가가치세 분개 방법을 사례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개인사업자 김새옹 씨는 원재료를 770,000원(부가세 70,000원 포함)에 현금으로 매입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매입에 있어서는, 위 부가세에 대해 어떤 계정을 사용할까요? 아래 분개와 같이, '부가세 대급급'계정을 사용합니다.

 

차변(자산 증가) 대변(자산 감소)
원재료 700,000원 현금 770,000원
부가세 대급금 70,000원  

 

 

 

자, 그러면 '부가세 대급금' 의미는 무엇일까요? 부가세대급금은, 사업자가 상품 또는 용역을 구입할 때, 거래상대방(공급자)에게 지급한 부가가치세를 의미합니다.

 

매입 시 발생한 부가세는, 사업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세금이 아니라 추후 부가세 신고 시 매출세액에서 공제 받거나 환급 받을 수 있기에 회계상 자산으로 처리됩니다. 즉, 과세기간 종료 후 부가세 신고 시, '부가세 예수금' 보다 '부가세 대급금'이 더 많으면 그 차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부가세 대급금은, 사업자가 매입 시 미리 납부한 부가가치세로서, 추후 부가세 신고 시 환급 받을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 참고) 장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차변 /대변 의미를 알고계셔야 합니다. 처음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금씩 공부해지면 익숙해집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차변 /대변 그리고 분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차변-대변-분개방법-정리

 

 

3. 맺으며

 

이상과 같이, 매출 매입 부가가치세 분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부가세 예수금 또는 대급금 계정을 사용하여 회계처리 한다는 점 등을 파악하여 장부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업무용 승용차의 경우, 운행일지를 작성해야 비용을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운행일지를 작성하는 게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닌데요, 그러나 세금과도 관련이 있어 무시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에 대해,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업무용-승용차-운행일지-비용처리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