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IRP 계좌 납입한도 3분 만에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개설해야하는 필수 계좌 IRP, 아시는 것처럼, 연간 900만 원까지는 세액공제 대상금액이 됩니다. 매년 2월마다 13월의 월급이 쏠쏠합니다.
저는 삼성증권 연금저축계좌도 개설하여 운용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irp, 연금저축 계좌를 함께 운용하면 계좌별로 연간 납입한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포스팅을 보고, 지금 바로 삼성 irp 계좌 납입한도를 변경해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 혹시 은행 irp 계좌에서 자금을 운용하고 계신가요? 저는 농협은행 irp 계좌를 가지고 있었는데요, 이번에 삼성증권 irp 계좌로 실물이전하였습니다. 은행 irp 계좌에서 삼성증권 퇴직연금 irp 계좌로 실물이전 하는 방법을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 차>
|
우선, 삼성 증권 irp 계좌에서 운용하고 있는 ETF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작년에 KODEX 코스닥 150 etf에 꽤 큰 비중으로 들어갔었습니다. 나름 바닥인 줄 알고 들어갔는데, 지하실을 구경하게 되었지요. IRP 계좌는 장기 투자여서, '언젠가는 오르겠지'라는 생각으로 버텼습니다.
다행히, 올해 코스닥 지수가 많이 올라서, KODEX 코스닥 150 etf 가격 13,200원대에서 전량매도 하였습니다! 수익률을 그렇게 높지 않지만, 탈출해서 기분이 좋네요.
그래서 아래와 같이, PLUS 고배당주 etf를 좀 더 비중을 실어서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월 20~30만 원씩 매수하였는데, 이번에는 월 50~70만 원 정도로 월 적립 매수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PLUS 고배당주 매입금액이 800만 원을 넘어 갔네요.
최근에, irp 및 연금저축 계좌 이중과세 논란으로 인해, TIGER 미국매당다우존스 등 ETF에서 PLUS 고배당주 etf로 넘어오고 있는 추세입니다.
PLUS 고배당주 etf는 작년에 15,940원까지 갔다가, 지금은 14,000 후반 ~ 15,000 초반에서 횡보하고 있지만, 올해 말에는 16,000원 중반 이상으로 올라와 있을 거라 예상합니다. 월 분배금 지급받으면서, 10년 이상 장투할 계획입니다!
그러면, '2.'항에서 본격적으로 삼성 irp 계좌 연 납입한도 변경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삼성 증권 IRP 퇴직연금 3분 만에 납입한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먼저, 삼성증권 mpop 어플을 실행한 뒤, 로그인을 합니다. 그리고 ② <연금/절세> - <MY 연금> - <납입한도조회/변경> 순으로 선택합니다.
③ <납입한도조회/ 변경> 화면입니다. 삼성증권 IRP, 연금저축, (회사) 퇴직연금을 포함하여, 연간 1,800만 원을 납입할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별 한도>를 살펴보면, 각 계좌별 한도설정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제 삼성 irp 계좌에는 연 300만 원으로 연 납입금액이 설정되어 있네요. 위 납입한도를 변경하게 위해서는, <당사 계좌별 한도>부분을 선택합니다.
④ <당사 계좌별 한도> 부분에서, 삼성증권 irp, 연금저축 계좌의 납입한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IRP 계좌 부분의 <한도변경> 부분을 선택합니다.
⑤ 삼성 IRP 계좌 납입한도 설정/변경 화면입니다. 현재 한도 설정액은 300만 원입니다. 한도 상향을 할 수 있는 범위는 400만 원입니다. 즉, 총 700만 원까지 연 납입한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지요.
<변경할 한도설정액> 부분에서, (제 경우에는) 700만 원 이하 범위에서 금액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경할 금액을 입력한 뒤, <설정/변경>을 선택하면, 완료됩니다.
※ 참고) IRP 계좌를 두 개 만들어야 하는 이유를 알고계시나요? 아래 포스팅에서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상과 같이, 삼성증권 irp 연 납입한도 변경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본 포스팅을 보고, irp 연 납입한도를 계획에 맞게 잘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저는 PLUS 고배당주 etf를 꾸준히 모아갈 계획인데, 중간 중간에 수익률과 지급받은 분배금 등을 포스팅을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댓글 영역